디파이 투자, 수익만 보고 시작했다간 큰일 납니다! 반드시 알아야 할 5가지 리스크

 



1. 스마트 계약 해킹

 

 

 

디파이 플랫폼은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이 계약에 취약점이 있을 경우 해커의 공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2년 Ronin Network에서는 브리지 서비스를 통한 해킹으로 약 5억 4천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

대응 전략:

  • 보안 감사(Audit)를 받은 플랫폼을 선택하세요.
  • 신뢰할 수 있는 개발팀과 커뮤니티를 가진 프로젝트를 이용하세요.



2. 무상손실(Impermanent Loss)

디파이에서 유동성 풀에 자산을 예치할 경우, 자산 가격의 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무상손실이라고 합니다. 이는 유동성 풀의 자동화된 시장 조성자(AMM) 메커니즘에 의해 자산 비율이 조정되면서 발생합니다 .​

대응 전략:

  • 가격 변동성이 낮은 자산(예: 스테이블코인)으로 구성된 풀을 선택하세요.
  • 무상손실 계산기를 활용하여 예상 손실을 사전에 파악하세요.



3. 디페깅(Depegging) 리스크

스테이블코인은 특정 자산(예: 달러)에 가치를 연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이 연동이 깨지는 현상을 디페깅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2022년 TerraUSD(UST)는 디페깅으로 인해 가치가 급락하며 시장에 큰 혼란을 초래했습니다 .​


대응 전략
:

  • 검증된 스테이블코인(예: USDC, USDT)을 사용하세요.

  • 디페깅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세요.





4. 러그풀(Rug Pull) 사기

러그풀은 디파이 프로젝트 개발자가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은 후 갑자기 프로젝트를 종료하고 자금을 빼돌리는 사기 행위입니다. 이러한 사기는 주로 새로운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며, 투자자들에게 큰 손실을 안겨줍니다 .​

대응 전략:

  • 프로젝트의 백서, 팀 구성, 커뮤니티 활동 등을 철저히 조사하세요.
  •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과 프로젝트에 투자하세요.




5. 브리지 해킹

디파이에서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 자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브리지는 해커들의 주요 공격 대상입니다. 예를 들어, 2022년 Ronin Network에서는 브리지 서비스를 통한 해킹으로 약 5억 4천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


대응 전략
:

  • 브리지의 보안 감사 여부와 운영 방식을 확인하세요.
  • 다양한 체인 간 자산 이동 시 신뢰할 수 있는 브리지를 사용하세요.




마무리 요약

  • 스마트 계약 해킹: 보안 감사 여부 확인
  • 무상손실: 가격 변동성 낮은 자산 선택
  • 디페깅 리스크: 검증된 스테이블코인 사용
  • 러그풀 사기: 프로젝트 신뢰도 철저히 조사
  • 브리지 해킹: 브리지의 보안 감사 여부와 운영 방식 확인



-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의지남자

여러가지 알게되는 정보를 전달해 드리고 싶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소식을 전할께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