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쿠코인, 비트겟 등
해외 거래소에서 수익이 나셨다면…
💬 “이거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 “언제, 어디서, 어떻게 신고하죠?”
이런 질문 많으시죠?
오늘은 그런 분들을 위해
✔ 해외 거래소 수익의 정확한 세금 신고 방법을
실전 흐름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해외 거래소 수익, 왜 신고해야 하나요?
✔ 한국 거주자가 해외 거래소에서 수익을 내면
국외 자산 양도소득에 해당되며
📌 반드시 연 1회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 미신고 시 → 가산세 + 무신고 가산세 + 추징 위험 발생!
2. 신고 대상 & 과세 기준
항목내용
대상자 | 한국 국세청에 세금 납부 의무가 있는 거주자 |
적용 기준 | 양도차익 기준 과세 (매도 - 매수) |
공제 한도 | 연 250만 원까지 비과세 |
세율 | 22% (지방세 포함) |
과세 시점 | 수익 실현 시점 (매도일 기준) |
✔ 보유 중인 코인은 과세 대상이 아니며, 매도 후 수익이 발생했을 때만 해당됩니다.
3. 해외 거래소 세금 신고 절차
- 해외 거래소 전체 거래 내역 수집
- 입출금, 매매, 전환 포함
- 바이낸스: CSV 다운로드
- 기타 거래소: 엑셀 백업 or API 활용
- 양도차익 계산
- FIFO(선입선출법) 기준
- 매수가, 매도가, 수량, 날짜 정리
- 종합소득세 신고 (5월)
- 홈택스 또는 세무대리인 통해 진행
- ‘해외 금융자산 양도소득’으로 입력
- 세액 산출 → 납부
- 공제 후 남은 수익 × 22% 세율 적용
4. 실전 예시
항목내용
매수 | 2024.01.10, 바이낸스 BTC 1개 $30,000 |
매도 | 2024.12.25, 바이낸스 BTC 1개 $48,000 |
수익 | $18,000 (한화 약 2,400만 원) |
과세 여부 | 연간 수익 250만 원 초과 → 세금 발생 |
세금 | 2,400만 원 - 250만 원 = 과세표준 2,150만 원 |
👉 세금 약 473만 원 납부 (22%) |
5. 주의사항 & 꿀팁 ✅
✔ 모든 거래 내역, 입출금 내역 꼭 보관
✔ 국내 거래소 입금 내역까지 추적될 수 있음
✔ 세무 대리인 도움 받으면 복잡한 계산 생략 가능
✔ 거래소마다 수수료·환율 차이 반영 주의!
6. 자주 묻는 질문 (FAQ)
❓ Q. 수익이 없어도 신고해야 하나요?
👉 아니요. 수익이 없으면 세금도 없습니다.
단, 손실이 있으면 신고해 두면 3년간 이월공제 가능해요.
❓ Q. 코인 수익을 원화로 출금 안 했는데도 세금 내야 하나요?
👉 원화 출금 여부와 관계없이 ‘매도 거래’가 발생했으면 과세 대상입니다.
❓ Q. 거래소 수익은 국세청이 어떻게 아나요?
👉 원화 입출금, 카드 결제, 국내 거래소 이동 기록 등으로 추적 가능해요.
바이낸스도 일부 정보 제공 중입니다.
❓ Q. 그냥 무시하면 안 되나요?
👉 미신고 시 20% 가산세 + 추가 과징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코인도 세금 납부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어요.
마무리 요약
✔ 해외 거래소 수익은 매년 5월,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
✔ 250만 원 초과분에 대해 22% 세금 발생
✔ 모든 거래 내역 꼼꼼히 보관, 정리 필수
✔ 가능하면 세무사 상담 + 엑셀 정리 툴 활용 추천!
-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Tags:
coin